술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4

살이되는 정보 2018. 5. 4. 15:24
반응형

Visuospatial Processes: Then and Now(시공간적 반응 연구의 과거와 현재)

Early neuropsychological studies of alcoholism often focused on KS and used test batteries (e.g., the WechslerBellevue,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tests) that were quantitative and standardized but not necessarily selective to specific components of cognitive functions. Nonetheless, difficulties in performing tests of visuospatial ability were commonly identified with the Wechsler tests of intelligence (Victor et al. 1989). These tests were found to be reliably sensitive to alcoholismrelated dysfunction, including the block design test, in which patients are timed while copying two­dimensional designs using three­dimensional blocks, and the object assembly test, in which patients are timed while constructing a common object from puzzle pieces (Parsons and Nixon 1993). Longitudinal assessment identified enduring impairments in visuospatial perception (e.g., seeing a figure embedded in a complex drawing) (Fama et al. 2004) and construction (e.g., copying a complex line drawing) (Sullivan et al. 1992) in both uncomplicated alcoholics (Beatty et al. 1996; Brandt et al. 1983) and alcoholics with KS (Victor et al. 1989). Recognizing the complexity of visuospatial processing, later studies employed new paradigms to parse its components. An example demonstrating the interaction of perceiving complex visual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focus attention without distraction comes from the global–local test. This test requires subjects to attend and respond to either a large letter or tiny letters presented in the form of the large letter. A large letter is a considered a global stimulus, which usually is processed by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conversely, a tiny letter is considered a local stimulus, which usually is processed by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When the large (global stimulus) and tiny (local stimulus) letters both contain target letters, responses are fast. However, when global and local information are contradictory, alcoholics find it difficult to disengage from one level of processing to the other. Moreover, the degree of difficulty in disengaging correlates with the integrity of the corpus callosum, the brain structure that connects the two cerebral hemispheres and enables transfer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like global and local features) between the hemispheres (Müller­Oehring et al. 2009).

알코올 중독에 대한 초기 신경 심리학적 연구는 종종 KS에 초점을 맞추고 양적 표준화가 되어 왔지만, 인지 기능의 특정 구성 요소에 반드시 필요는 없는 테스트 ( : WechslerBellevue,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테스트)를 사용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각 공간 능력 테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Wechsler 지능 테스트 (Victor et al., 1989)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이 테스트는 3 차원 블록을 사용하여 2 차원 디자인을 복사하는 동안 피실험자의 시간을 측정하는 블록 디자인 테스트와 퍼즐 조각으로 공통된 대상을 구성하는 동안 시간을 정하는 대상 어셈블리 테스트를 비롯하여 알코올 중독 관련 기능 장애에 대해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arsons and Nixon 1993). 경도 평가는 심각하지 않은 알코올 중독 환자, 심각한 환자 모두에서 시각 지각에서의 장애를 발견했습니다. ( : 복잡한 그림에 포함된 그림보기시각 공간 프로세싱의 복잡성을 인식하고 나중의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구성 요소를 구문 분석했습니다.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인지하고 주의를 끌지 않고 집중할 수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예는 글로벌 로컬 테스트에서 비롯됩니다. 이 시험에서 피실엄자는 수업에 참석하고 대문자 형태로 표시된 작은 편지에 응답해야했습니다. 대문자는 일반적으로 오른쪽 대뇌 반구에 의해 처리되는 자극으로 간주됩니다. 반대로, 작은 편지는 대개 왼쪽 대뇌 반구에 의해 처리되는 국소 자극으로 간주됩니다. 대문자와 소문자의 글자 모두 대상 문자를 포함하면 응답이 빨랐습니다. 그러나 뇌의 전체적인 영역에 반응하는 정보가 모순되는 경우 알코올 중독자는 한 수준의 처리에서 다른 단계로의 연결을 구별짓는 것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또한, 분리의 어려움은 두뇌 대뇌 반구를 연결하고 반구 사이의 정보 ( : 전역 및 국소 특징)의 전달 및 통합을 가능하게하는 뇌 구조 (callusum callosum)의 무결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MüllerOehring . 2009) .

Such disruption of information sharing between the hemispheres in alcoholics was predicted by experiments predating quantitative brain­imaging methods that provided behavioral evidence for callosal dysfunction long before it was demonstrated with behavior­neuroimaging studies (Oscar­Berman 1992). Similarly, another brain region that had been implicated in visuospatial processing deficits in alcoholics was the parietal lobes, assumed from studies of focal lesions; however, only recently was this association confirmed with MRI and visuospatial testing in alcoholics (Fein et al. 2009).

알콜 중독자의 반구 사이의 정보 공유의 그러한 붕괴는 운동 신경 영상 연구 (OscarBerman 1992)로 증명되기 훨씬 전에 오감 내 기능 장애에 대한 행동 증거를 제공하는 정량적 뇌 영상 방법 이전의 실험에 의해 예측되었습니다. 이와 유사하게, 알코올 중독자의 시각 공간 처리 결손에 연루된 또 다른 두뇌 영역은 국소 병변의 연구에서 추측한 정수리 로브였으며; 그러나 최근에는 MRI와 알코올 중독 환자의 시공간 검사로 확인된 연관성이 있었습니다.

어렵습니다 너무 어려운 글입니다. 그러나 요지는 쉽습니다. 계속해서 되풀이하듯이 알코올이 인지 전반에 장애를 초래하거나 그러할 가능성이 높으며 상당 부분 입증이 되었다는 것만 알면 될것 같습니다. 음주로 인한 행복이 그 부작용보다 큰 수준에서의 알맞은 음주를 하면 됩니다. 오늘은 시각 공간 인지와 관련된 알코올성 장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