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2

살이되는 정보 2018. 5. 2. 14:40
반응형

Neuropsychological Sequelae of Alcoholism(알코올 중독의 신경심리적 후유증)

Cognitive psychology in the early 1970s was ripe with newly evolving theories about the complexities of cognition, and scientists had developed paradigms useful for testing hypotheses about the new theories. These modeldriven tests provided the basis for recognizing that 33 to 50 percent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s exhibit detectable cognitive or motor impairments (Arciniegas and Beresford 2001). Many of the early theorists initiated application of test paradigms in acute alcohol consumption (Tamerin et al. 1971; Weingartner and Faillace 1971), blackouts (Goodwin et al. 1969), alcoholism detoxification (Eckardt et al. 1978; Parsons 1983; Ryan and Butters 1983; Ryback 1971; Tarter 1975), and alcoholism complicated by the amnesia marking Korsakoff’s syndrome (KS), a result of Wernicke’s encephalopathy (WE) (Lishman 1990; Talland 1965; Victor et al. 1971). Applic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ories, cognitive models, and paradigms useful in testing selective components of complex functions ultimately provided adequate tools for examination and detection of the mild to severe impairments that alcoholics without KS (i.e., “uncomplicated” alcoholics) sustain. Taken together, this extensive body of literature resulted in the careful description of the pattern of sparing and impairment characteristic of the typical recovering chronic alcoholic, thus providing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deficits suffered in the context of those spared and useful in recovery. On a basic science level, these patterns directed neuroimaging, neuropathology, cell physiology, and neurochemistry efforts in seeking neural substrates of the identified deficits. (For mor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hese technologies, see the sidebar “History of Neurobiological Studies in Alcohol Research.”)

1970 년대 초의 인지심리학은 인지의 복잡성에 대해 새롭게 진보된 이론에 익숙해졌으며 과학자들은 새로운 이론에 대한 가설을 테스트하는 데 유용한 패러다임을 개발했습니다. 이러한 모델 테스트 결과는 알코올 사용 장애를 가진 사람의 33 ~ 50 %가 인지능력 또는 운동능력에서 장애가 있음을 인지한다는 근거를 제공했습니다 (Arciniegas and Beresford 2001). 많은 초기 이론가들은 급성 알코올 소비 (Tamerin et al 1971, Weingartner and Faillace 1971), 블랙아웃(필름 끊김 현상) (Goodwin et al. 1969), 알콜 중독 해독 (Eckardt et al. 1978, Parsons 1983, Ryan and 1972)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적용을 시작했습니다. Butters 1983, Ryback 1971, Tarter 1975), Wernicke 뇌증 (WE)의 결과인 기억 상실 (Korsakoff 's syndrome) (KS)로 인해 알코올 중독이 복잡해졌습니다 (Lishman 1990, Talland 1965, Victor et al 1971). 복잡한 기능의 선택적 구성 요소를 테스트하는 데 정보 처리 이론,인지 모델 및 패러다임의 적용은 궁극적으로 KS없는 알코올 중독자 (, "단순하지 않은"알코올 중독자)가 유지하는 경미한 장애의 검사 및 탐지를 위한 적절한 도구를 제공했습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이 광범위한 문헌들은 전형적으로 만성 알콜 성 물질의 보존 및 손상 특성을 세심하게 묘사한 결과, 회복 시 유용했던 기능적 결함에 대한 필수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기본적인 과학 수준에서 이러한 패턴은 식별된 적자의 신경 기질을 찾는 데있어서 신경 영상, 신경 병리학, 세포 생리학 및 신경 화학 작용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알코올 연구에서의 신경 생물학 연구의 역사"를 참조하십시오.)

Component Processes of Memory: Then and Now Alcoholics with KS were of special value to memory theorists (Butters and Cermak 1980; Oscar­Berman and Ellis 1987; Squire et al. 1993; Warrington and Weiskrantz 1970). Their innovative test paradigms resulted in data contributing substantially to current knowledge about component processes of memory applicable to alcoholism complicated with KS and to milder forms of memory impairment found in uncomplicated alcoholism. These theorists found that memory comprises multiple, dissociable functions supported by different brain regions and systems (Squire and Butters 1992). KS amnesia is characterized by severe and relatively circumscribed deficits in remembering new information (i.e., forming new memories), regardless of type of memoranda material (e.g., words, pictures, odors, touches). The capacity for “remembering” can be tested with paradigms for explicit memory and implicit memory. Paradigms for explicit memory include approaches such as free or cued recall tests (e.g., asking people to repeat elements of a story they heard an hour ago) or recognition tests (e.g., asking people to select from a series of items the ones that were presented on a test). Implicit memory tests assess, for example, improved performance on a motor skill or ability to select a word infrequently used to complete a word stem (e.g., when asked to complete “STR _ _ _,” answer “STRAIT” instead of the more commonly used “STREET”). 

기억의 구성 요소 과정 : 그때 그리고 지금 KS를 가진 알코올 중독자는 기억 이론가에게 특별한 가치가 있었습니다 (Butters and Cermak 1980; OscarBerman and Ellis 1987; Squire et al., 1993; Warrington and Weiskrantz 1970). 그들의 혁신적인 테스트 패러다임은 KS로 복잡하게 된 알코올 중독과 복잡하지 않은 알코올 중독에서 발견되는 더 가벼운 기억 손상의 형태에 적용 할 수있는 메모리의 구성 요소 프로세스에 대한 현재의 지식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데이터가되었습니다. 이 이론가들은 기억이 여러 뇌 영역과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여러 해리 함수를 포함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Squire and Butters 1992). KS 기억 상실증은 메모란 자료의 유형 ( : 단어, 그림, 냄새, 접촉)에 관계없이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는 (,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는) 심각하고 비교적 외적인 결함으로 특징지워집니다. "기억"용량은 명시적 메모리 및 암시적 메모리에 대한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명시적 기억을 위한 패러다임에는 자유로운 또는 상기 테스트 ( : 한 시간 전에 들었던 이야기의 요소를 반복하도록 요구하는 것) 또는 인식 테스트 ( : 사람들에게 일련의 항목에서 제시된 것들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것과 같은 접근법)가 포함됩니다. 함축적인 기억 검사는 예를 들어 운동 능력에 대한 개선 된 성과 또는 단어 줄기를 완성하는 데 자주 사용되지 않는 단어를 선택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 : "STR _ _ _"을 완료하라는 질문에 대답 할 때). "STREET"사용).

Alcoholic KS patients show notable impairment on tests of explicit memory, especially those requiring open­ended recall without cues, but are relatively spared on verbal (i.e., word stem completion [Verfaellie and Keane 2002]) and nonverbal (i.e., picture completion [Fama et al. 2006]) tests of implicit memory. That cueing can enhance remembering of new explicitly learned information by KS patients suggested that retrieval processes are more affected than encoding or consolidation processes. On a practical level, this depiction of memory abilities could mean that when provided with adequate aids, patients with KS may be able to enhance their otherwise fragile memory. Combined with evidence that alcoholic KS amnesia can range from mild to profound (Pitel et al. 2008), this possibility suggested that the brain substrate for amnesia could be different from another type of amnesia resistant to memory enhancement cueing (Milner 2005). Such differences support a distinction between behavioral types and neural causes of amnesia and provide further evidence for the nonunitary concept of memory. Moreover, the retrieval deficit foundation of KS led memory theorists to seek nonmnemonic bases for fragile memory performance and in doing so to place KS amnesia in the context of the additional cognitive deficits characteristic of uncomplicated alcoholism.

알콜 성 KS 환자는 눈에 띄는 기억력의 감퇴를 보이는데, 특히 단서없이 개방적 회상을 필요로하는 테스트 영역에서 현저한 손상을 보이지만 구술 (, 단어 줄기 완성 [Verfaellie and Keane 2002])과 비언어적인 (, 그림 완성 [Fama 2006]) 암시 적 기억에 대한 검사에서는 비교적 양호합니다. 이러한 큐잉은 KS 환자가 새롭게 명시적으로 학습한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검색 프로세스가 인코딩 또는 통합 프로세스보다 영향을 받았다고 제안했습니다. 실용적인 수준에서 이 기억 능력의 묘사는 적절한 보조 장치가 제공 될 때 KS 환자가 다른 방법으로는 연상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알콜성 KS 기억 상실증이 경증에서 중후까지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는 증거와 함께이 결과는 기억 상실증에 대한 뇌 기질이 기억 증진 단서에에 저항하는 기억 상실증의 다른 유형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Milner 2005). 이러한 차이점은 행동 유형과 기억 상실의 신경 원인을 구별하고, 기억의 비절관적 개념에 대한 증거를 제공합니다또한 KS의 검색 적자 기반은 기억력 이론가들로 하여금 연약한 기억 성능을위한 비 기억 근거를 찾아 내고 그렇게 함으로써 단순한 알코올 중독의 특징인 추가적인 인지 결손의 맥락에서 KS 기억 상실을 설명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