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blem Solving and Cognitive Control Processes: Then and Now(문제 해결과 인지 조절 과정 : 과거와 현재)
A striking feature of alcoholics is their continued drinking despite their knowledge of the untoward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their behavior. This characteristic became one of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lcohol dependence specified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It also fits the description of people with lesions of the frontal lobes, who are characterized as “impulsive, inconsiderate, uninhibited, inflexible, or illmannered....” (Brewer 1974, p. 41). As a group, alcoholics share this constellation of behaviors characteristic of frontal lobe dysfunction, which also can include impaired judgment, blunted affect, poor insight, distractibility, cognitive rigidity, and reduced motivation. Originally described clinically, most of these behaviors now have received empirical support through creative behavioral testing and currently through functional imaging studies. A subgroup of these behaviors are considered “executive functions” (OscarBerman et al. 2004). These include processes such as working memory (i.e., the ability to keep a number of items in a shortterm memory store for evaluation or modification, such as remembering a string of numbers to perform mental arithmetic), problem solving, attentional focus (i.e., the ability to attend to one focus and exclude extraneous information from distracting from focus), and sequencing and temporal ordering (i.e., putting items into a logical order or prioritizing tasks to accomplish throughout the day) (Salmon et al. 1986; Sullivan et al. 1997). Vulnerability to distraction by irrelevant information (Hada et al. 2000) and engagement in risky behavior (Bjork et al. 2004; Fein et al. 2006) each may contribute to difficulty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mental set (that is, a cognitive strategy) when solving a problem (Fabian and Parsons 1983; Tarter and Parsons 1971).
알코올 중독자의 눈에 띄는 특징은 생리학적 또는 심리적 결과나 행동에 부정적인 작동이 있다는 인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술을 마시는 것입니다. 이 특징은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 제 4 판 (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에 명시된 알코올 의존의 진단 기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것은 또한 "충동적이고, 배려가없고, 거침없는 언행, 융통성이 없거나 나쁜 사람"이라고 특징 지어지는 전두엽의 병변을 가진 사람들의 묘사에 적합합니다. (Brewer 1974, p.41). 알코올 중독자는 장애가 있는 판단, 둔화 된 통찰력, 열악한 통찰력, 산만함, 인지 강성 및 감소 등의 동기를 포함 할 수있는 전두엽 기능 장애의 특징을 공유합니다. 원래 임상적으로 기술된 이 행동의 대부분은 창조적 인행동 테스트와 현재 기능적 이미징 연구를 통해 증명이 되어왔습니다. 이러한 행동의 하위 그룹은 "실행 기능"으로 간주됩니다 (OscarBerman 외 2004). 여기에는 작업 메모리 (예 : 정신 산술을 수행하기 위해 일련의 숫자를 기억하는 것과 같이 평가 또는 수정을 위해 단기 메모리 저장소에 여러 항목을 유지하는 기능), 문제 해결, 주의 집중 (예 : 하나의 초점에 참석하고 초점에서 산만하게하는 관계없는 정보를 배제하는 능력), 순서와 시간 순서 (즉, 항목을 논리적 인 순서로 두거나 일을 성취하기 위해 우선 순위를 정하는 작업) (Salmon 등 1986; Sullivan et al. 1997). 부적절한 정보에 의한 주의 산만 (Hada et al 2000)과 위험 행동 (Bjork et al. 2004, Fein et al. 2006), 또는 정신 집중 (즉,인지 전략)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Fabian and Parsons 1983; Tarter and Parsons 1971).
Therefore, rather than being hampered by perseverative responding—that is, giving the same response that was correct for a previous question to a new question requiring a different response—alcoholics are more prone to failure in finding a theme when solving a problem (Sullivan et al. 1993). It may be of little surprise that alcoholics are particularly challenged in reordering their everyday living and work activities considering these deficits in working memory, maintenance of mental set, distractibility, and sequencing. Together, these difficulties could result in “learned helplessness” and dampened motivation to face the challenge of change. Not all alcoholics, however, exhibit impairment in all of these functions, thereby adding to the heterogeneity of the expression of the alcohol dependence syndrome. Recognition of which of these processes are spared and which are impaired in a given patient could provide an empirical basis for targeted behavioral therapy during periods of recovery.
따라서 설득력 있는 결론으로 즉, 이전 질문에 대한 올바른 답변을 했다고 할 지라도 알코올중독자는 같은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실패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Sullivan et al., 1993). 알코올 중독자가 일상 생활에서도 기억력 부족, 정신 착란의 유지, 산만함 및 순서를 고려하여 일상 생활과 작업 활동을 재정렬하는 데 특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함께, 이러한 어려움은 "배운 무력감"을 초래할 수 있으며 변화와 도전에 맞설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알코올 중독자가 이러한 모든 기능에 장애가 있는 것은 아니어서 알코올 의존 증후군 발현의 이질성이 증가합니다. 이 과정들 중 어느 것이 유효하고 무효한지에 따라, 주어진 환자에게 장애가 있는지에 대한 인식은 회복 기간 동안 목표 된 행동 치료를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 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생각해서 술을 마신 상태로 어떤 사고력이나 기억력을 요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는 해당 수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직접 경험 해 보면 어렵지 않게 느낄 수 있는 부분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무 중간중간 술을 마시는 경향이 있습니다. 드라마 "Mad men"에서는 광고업계 사람들이 시도 때도 없이 술을 마시면서 일을 하는데 술로 인해 드라마 상에서도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곤 합니다.
출처 : Mad men
이러한 부정적인 기능에도 불구하고 일과 중간에 술을 마시는 이유를 추정해 보자면 이렇습니다.
도저히 술을 마시지 않고서는 고통스런 현실을 버틸 수 없는 경우입니다. "노가다"를 하시는 분들을 보면 항상 취해있기 일수고 위험천만한 상황에서도 소주병을 끼고 있는 것을 어렵잖게 볼 수 있습니다. 제정신으로는 살 수 없는 상황, 취하지 않고서는 살아가기 힘든 경우로도 볼 수 있습니다.
좋게 포장하려 해도 사실상 알코올중독이고 그로 인한 갖은 부작용은 본인과 주변인, 사회가 떠안아야 할 짐입니다. 부디 술과 알코올의 순 기능만을 취하시고 역기능은 피하실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5 (0) | 2018.05.05 |
---|---|
술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4 (0) | 2018.05.04 |
술이 뇌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2 (0) | 2018.05.02 |
술과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연구의 역사2(끝) (0) | 2018.05.01 |
술과 관련된 신경생물학적 연구의 역사 (0) | 201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