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건강과 공중보건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6

살이되는 정보 2018. 5. 20. 11:07
반응형

Drinking pattern 음주 패턴

Most epidemiologic studies are based on a single measure summarizing alcohol exposure into an average amount. Recently, however, evidence has emerged that this one-dimensional approach does not adequately account for the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alcohol consumption; important variation is comprised in the drinking pattern. In studies that focus on amount only, individuals who drink relatively small amounts on a number of drinking sessions are categorized with individuals consuming the same weekly amount of alcohol on one Saturday night. These two patterns of drinking may be associated with very different risks.

대부분의 역학 연구는 알코올에 대한 노출을 평균치로 요약해서 단일 척도에 기반하여 다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이러한 일차원적 접근이 알콜 섭취와 관련된 건강 위험을 적절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증거가 나타났습니다. 중요한 차이는 음주 패턴에 기인합니다. 음주 양에만 초점을 맞춘 연구에서, 많은 횟수의 술자리에서 상대적으로 소량씩을 마시는 개인은, 토요일 밤에 그 사람이 일주일 간 마신 알코올 양을 하루만에 소비하는 개인과 동일하게 분류됩니다. 이 두 가지 음주 패턴은 매우 다른 위험군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Drinking pattern can be defined in many ways, e.g. as drinking with meals, on weekends only, to intoxication, to a certain blood alcohol level, more than a certain amount per session (six drinks, 13 drinks, one half a bottle of spirits, etc.) and amount and frequency. Most studies with a measure of binge drinking (often defined as drinking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drinks per session, such as eight drinks) found increased risk amongst both men and women. In the Male Health Professionals, Mukamal et al. elegantly showed that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seemed to be more strongly related to frequency of alcohol intake than to amount of alcohol intake. Another study with comparable measures of drinking pattern also emphasizes frequency as the primary determinant amongst men; however, amongst women, the association with amount of alcohol intake seemed stronger than the association with frequency of intake. Generally, the impact of drinking pattern amongst women has been far less studied than amongst men, and more studies are needed before conclusions of gender-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drinking pattern and coronary heart disease can be drawn.

음주 패턴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반주로 마시기, 주말에만, 중독성으로, 특정 혈중 알코올 농도수준으로, 세션 당 특정 양 (6 잔 음료, 13 , 1 병의 병 1/2)으로 마시는 등이 그렇습니다. 과음의 정도를 측정한 대부분의 연구는 (종종 8잔 이상과 같이 한 번 마실 때 특정 수 이상의 술을 마시는 것으로 정의 됨) 남녀 모두에서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 건강 전문가들은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이 알코올 섭취량보다 알코올 섭취 빈도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음주 패턴에 필적하는 측정법을 사용하는 또 다른 연구는 남성들 사이의 주된 결정 요인으로서 빈도를 강조합니다. 그러나 여성들의 경우 알코올 섭취량과의 연관성은 섭취 빈도와의 연관성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여성들 사이의 음주 패턴에 대한 영향은 남성들보다 훨씬 적으므로 음주 패턴과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사이의 성별 관련 결론을 내리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However, some explanations may account for possible gender differences. One explanation is gender-specific drinking habits, such as drinking with meals, which may contribute to a greater risk reduction than drinking outside meals. It is possible that men who drink frequently are more likely to drink with meals than women who drink frequently. However, a favourable effect of meal-related alcohol intake is not found in all populations. Another explanation could be a greater degree of residual confounding amongst women than amongst men. Interestingly, biomarkers suggested to explain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and decrease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such as HDL and fibrinogen, which were found to explain a larger proportion of the association amongst men than amongst women, suggesting that alcohol has particular effects on mediators according to sex. Other biological explanations for gender-specific associations include the differences in alcohol pharmacokinetics and effects of alcohol on sex hormones described previously. It remains to be proven if any of these putative mechanisms depend upon the drinking pattern, and the relation between drinking frequency and coronary heart disease warrants further study, especially amongst women. Several of the above mentioned studies have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drinking pattern and all-cause mortality. Again, as with studies on alcohol drinking pattern and coronary heart disease, varying measures of drinking patterns are used, but results consistently imply a hazardous effect of drinking large amounts of alcohol per session. Thes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drinking pattern plays a role in the apparent cardio protective effect of alcohol.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s generally lower for steady versus binge drinking.

그러나 일부 설명은 성에 따른 음주의 영향 차이에 타당한 이유를 제시합니다. 한 가지 설명은 식사와 함께 술을 마시는 것과 같은 성별에 따른 음주 습관입니다. 외부 습관을 마시는 것보다 더 큰 위험 감소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자주 술을 마시는 남자는 여성보다 음식과 함께 술을 마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식사와 관련된 알코올 섭취의 유리한 효과는 모든 사람에게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또 다른 설명으로 남성들보다 여성들 사이에 음주로 인한 잔혹한 혼란의 정도가 더 클 수도 있다고 합니다흥미롭게도, 생체적인 신호는 알콜과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HDL 및 피브리노겐과 같은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며, 이는 남성보다 여성보다 남성의 연관성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 주며, 알콜이 성에 따른 차이를 경감한다고 합니다. 성별과 관련된 다른 생물학적 설명에는 이전에 설명한 성 호르몬에 대한 알코올의 약물 동력학 및 알코올 효과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 추정 메카니즘 중 어느 것이 마시는 패턴에 달려 있고, 음주 빈도와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사이의 관련성이 여성, 특히 여성들의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하는 경우에는, 증명이 되어야합니다. 위에서 언급 한 연구 중 몇 가지는 음주 패턴과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음주 패턴과 관상 동맥 심장 질환에 대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음주 패턴에 대한 다양한 측정 방법이 사용되지만,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세션 당 다량의 알코올을 마시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실은 음주 패턴이 알콜의 명백한 심장 보호 효과에 중요한 역할을한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은 조금씩 자주 마시는 편이 한번에 폭음을 하는 것 보다 일반적으로 낮습니다.

*적잖은 연구 결과가 그럴 수 있겠으나, 위의 결과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의문이 있습니다. 매일같이 술을 마시는 것 보다, 차라리 한 번에 술을 많이 마시는 것에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간과 관련해서 그렇습니다. 간이 일정 시간 당 해독가능한 알코올은 개인에 따라 일반적으로 한정적입니다. 따라서 매일 술을 마시면, 간이 쉬지않고 해독을 하느라 피곤해지고 관련 질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한 번 술을 마시면, 한 잔이라도 최소 2~3일은 쉬어 주는 것이 간 건강에 좋다고 합니다. 반면 한번에 술을 많이 마시고 푹 쉬고 또 마시면, 비록 다른 피해가 있을 수 있지만, 이미 기능을 충분히 한 간은 그 사이에 푹 쉬면서 회복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것입니다. 어찌 되었든 적정 음주를 하면서 쉬어가기도 하는 것이 심신 건강에 좋음을 항상 명심해야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